본문 바로가기

미캐닉룸_ 원활한 주행을 위한 앞 변속기 세팅

바이크조선 | 2016.10.14 15:17

가-가-가+가+

앞 변속기가 올바르게 세팅되지 않으면 잡음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변속이 이뤄지지 않는다. 체인이 안쪽으로 떨어지거나 바깥으로 이탈할 수도 있어 정확한 세팅이 필요하다.

앞 변속기는 크랭크의 각 체인링 사이에서 체인을 움직여 원하는 기어로 변속할 수 있게 해주는 부품이다. 로드바이크에서 앞 변속기는 고정 방식에 따라 밴드(Band) 방식과 브레이즈 온(Braze on) 방식으로 나뉜다.

기본적으로 앞 변속기의 조정 방법은 제품마다 비슷하다. 적절한 높이와 방향으로의 설치, 한계조절 나사(Limit Screw)의 조절, 변속 케이블의 장력 세팅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앞 변속기의 조정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1 4㎜ 육각렌치를 이용해 케이블 고정볼트를 풀어 변속기에서 케이블을 분리한다.

2 변속기를 움직일 수 있도록 5㎜ 육각렌치로 변속기 고정볼트를 살짝 풀어준다.

3 + 자 드라이버로 L 한계 조절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조여 앞 변속기의 바깥쪽 플레이트를 가장 큰 체인링 쪽으로 움직여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4 큰 체인링과 변속기의 바깥쪽 플레이트와의 거리를 1~3㎜ 정도로 맞추기 위해 변속기를 손으로 움직여 조절한다. 이때 동전을 삽입하면 간격 측정이 쉽다.

5 변속기의 바깥쪽 플레이트와 큰 체인링이 서로 평행하도록 변속기를 잡고 방향을 조정한다.

6 브레이즈 온 방식의 앞 변속기는 바깥쪽 플레이트의 앞쪽은 큰 체인링과 위치를 일치시키고, 플레이트의 뒤쪽 끝을 0.5~1㎜ 정도로 체인링 안쪽으로 살짝 틀어준다.

7 앞 변속기의 서포트 볼트를 2㎜ 육각렌치로 조절한다. 변속기의 바깥쪽 플레이트와 큰 체인링이 서로 평행하도록 조이거나 풀면서 간격을 확인한다. 이때 서포트 볼트가 프레임에 직접 닿는 위치를 확인하고 백업 플레이트가 프레임의 올바른 위치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8 4 ~7번 과정으로 변속기의 높이와 방향이 제대로 조정되었음을 확인하고 육각렌치를 이용해 밴드 고정 볼트를 완전히 조인다.

9 뒤 변속기 레버를 조작해 체인이 고단(가장 큰 스프라켓)에 위치하도록 한다.

10 크랭크를 돌리면서 앞 변속기의 안쪽 플레이트와 체인이 닿는지 체크한다.

11 변속기의 안쪽 플레이트(또는 스키드 플레이트)와 체인이 닿거나 마찰 소음이 나면 L 한계 조절 나사를 +자 드라이버를 이용해 반시계방향으로 조금씩 풀어주면서 체인과의 간격이 0~0.5㎜가 되도록 조절한다. 체인이 안쪽 플레이트(또는 스키드 플레이트)와 간격이 멀다면 L 한계 조절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조금씩 조이면서 체인과의 간격을 0~0.5㎜ 가량 되도록 조절한다.

12 이너 케이블을 앞 변속기의 고정 홈에 유의하여 올바른 경로로 장착하고 케이블을 당기면서 4㎜ 육각렌치로 케이블 고정볼트를 완전히 조인다.

13 앞 변속기 레버를 조작해 체인이 큰 체인링에 위치하도록 한다.

14 큰 체인링에서 앞 변속기 레버의 릴리즈 레버를 한 번 눌러 트림위치에서 체인과 앞 변속기의 안쪽 플레이트가 0~0.5㎜ 정도의 간격이 되도록 케이블 조절 배럴을 이용해 미세 조정한다.

15 뒤 변속기 레버를 조작해 체인이 고단(가장 작은 스프라켓)에 위치하도록 한다.

16 앞 변속기 레버를 다시 조작해 큰 체인링에 체인이 위치하도록 한다.

17 변속기의 바깥쪽 플레이트와 체인이 닿거나 마찰 소음이 나면 H 한계 조절 나사를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주면서 체인과의 간격을 0~0.5㎜로 조정한다. 체인이 바깥쪽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멀거나 체인링 바깥쪽으로 이탈한다면 H 한계 조절 나사를 시계 방향으로 조여 체인과의 간격을 0~0.5㎜로 조정한다.

18 모든 변속기 세팅 과정이 끝나면 정상적인 기어변속이 이뤄지는지 확인하고, 테스트 주행을 통해 필요하다면 앞의 과정을 참고해 다시 조정한다.

정호찬 객원기자
사진 이동복 기자
제공 자전거생활
출처 바이크조선
발행 2016년 09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바이크조선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