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이자 최고의 전동식 MTB 변속기, 시마노 XTR DI2
최초이자 최고의 전동식 MTB 변속기 시마노 XTR Di2. 하나의 변속 레버와 변속기에 내장된 컴퓨터를 통해 작동하는 이 똑똑한 변속 시스템은 빠르고 정확한 변속을 가능케 한다. 로드바이크에 사용된 오토트리밍 기능과 일정한 변속감도 특징. 특히 싱크로나이즈드 변속으로 불리는 기능은 하나의 시프터로 시프트업과 다운을 할 수 있고 주행에 적합한 기어비를 제공해준다. 세팅에 따라 라이더가 즐겨 이용하는 기어비는 물론, 다단변속, 변속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시마노 XTR Di2의 장착과 세팅법을 알아보자.
배터리, 핸들바 장착과 케이블 연결
1 프로 타르시스 Di2 스템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스티어러튜브를 사진과 같이 Min과 Max사이에 들어가도록 잘라야한다.
2 스템을 고정할 때는 #1이 적힌 위쪽 볼트만 잠가준다.
3 볼트를 잠근 다음 내장형 배터리를 장착한다. 전용 어댑터를 사진과 같이 위치시킨다.
4 어댑터를 잘 잡은 상태에서 스티어러튜브 내부로 배터리를 힘을 주어 집어넣는다.
5 사진과 같이 튀어나온 부분이 스티어러튜브의 절단면에 맞을 때까지 넣어주면 된다.
6 배터리에 E-tube 케이블을 장착한다. 이 때 꼭 전용 툴을 사용해야 케이블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7 케이블의 반대편을 스템 내부를 지나는 구멍으로 집어넣어 반대쪽 끝까지 빼낸다.
8 마지막으로 스템의 탑캡을 장착
9 먼저 앞쪽 마개를 사진과 같이 장착하고
10 스티어러튜브 위 마개를 장착한다. 사진과 같이 튀어나온 부분이 스템의 뒤쪽으로 가게 장착한다.
11 다음은 타르시스 Di2 핸들바 내부로 E-tube 케이블을 장착한다. 케이블의 길이는 650㎜가 적당하다.
12 가운데로 케이블을 넣은 다음 한쪽으로 케이블 머리가 나오게 한 다음
13 E-tube 전용툴에 케이블 머리의 홈 부분을 끼우고
14 핸들바 안쪽으로 구멍에 잘 맞춰 넣어주면 케이블이 올라온다.
15 만약 전체가 나오지 않을 경우, 핀셋이나 라디오펜치 등을 이용하면된다. 너무 힘을 주어 잡아당길 경우 케이블 머리 부분이 손상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반대편도 동일하게 진행한다.
16 좌우 핸들바에 케이블을 연결한 뒤 정션(SM-EW90-A, Junction A)에 핸들바의 케이블과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한다.
17 정션에는 좌우 핸들바의 케이블 및 베터리 케이블, SC-M9050(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에 연결할 케이블까지 장착한다.
18 모든 케이블을 장착한 뒤 정션과 케이블을 스템 내부로 집어넣는다.
19 핸들바를 잘 잡은 상태에서 스템과 핸들바를 고정한다. 타르시스 Di2는 다른 스템과는 다르게 위쪽 2개의 볼트를 끝까지 잠근다.
20 아래쪽 2개의 볼트를 동일한 토크로 잠궈야 정상적으로 장착이 된다.
21 배터리와 정션 장착 완료
핸들바, 파트(레버, 스위치, 디스플레이) 장착
1 핸들바에 브레이크레버와 스위치, 그립 등을 장착한다. 먼저 시프터 장착을 위해 E-tube 케이블(EW-SD50)을 사진과 같은 길이로 준비해둔다.
2 SW-M9050(변속 시프터)를 핸들바에 장착하고 케이블 캡을 케이블 내부로 넣은 다음 툴을 이용해 케이블을 고정한다.
3 케이블 캡은 뒤쪽에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 최대한 타이트하게 장착할수록 깨끗하게 핸들바를 정리할 수 있다.
4 E-tube 케이블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레버, 그립(서스펜션 리모트 포함) 을 장착한다.
5 브레이크 및 스위치를 작동해 보고 알맞은 위치에 스위치를 고정한다. 고정은 스위치 아래 부분의 볼트를 1.5㎜ 육각렌치로 하게 되며, 적정 토크는 0.9Nm 이다.
6 스위치의 위치를 정했다면 브레이크레버와 그립 등을 제거한다.
7 그 이유는 스위치의 아래 부분에 남은 여분의 케이블을 정리하기 위함이다.
8 사진과 같이 케이블을 잡아당겨 핸들바 내부로 집어넣으면 된다.
9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SC-M9050)을 장착한다.
10 핸들바의 사이즈에 맞게 31.8㎜, 35㎜ 밴드를 선택하여 동봉된 볼트로 본체와 결합하면 되며 핸들바와 고정할 때는 0.8Nm로 조인다.
11 마지막으로 스템 내부에서 나오는 E-tube 케이블을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 이의 3개의 포트 중 한군데에 연결한다.
12 브레이크 레버는 스위치의 간섭을 확인하며, 스위치의 2단 클릭이 작동하는 위치에 장착한다.
구동부 장착과 케이블 연결
1 핸들바 쪽의 장착이 끝났다면, 다음은 드라이브 유닛 장착이다. 먼저 앞 디레일러는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클램프 밴드, 다이랙트 타입, E-타입 어댑터를 사용한다.
2 앞 디레일러의 뒷부분 홈에 어댑터를 위에서 아래로 밀어 결합하고 볼트로 조여주면 간단하게 조립된다.
3 프레임의 전용 볼트 또는 스페이서와 함께 가조립 해둔다.
4 뒤 디레일러는 행어의 노치부분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살짝 들어서 설치한 다음 아래로 당긴다.
5 드라이브 유닛 케이블을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에 연결한다.
6 프레임 구조에 따라 E-tube 케이블이 장착되는 위치는 다르며,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
7 외장형 정션(SM-JC40, Junction B)을 사용할 경우, E-tube 케이블 길이가 길면 정션안쪽 홈에 케이블을 끼워 정리할 수 있다.
8 BB 아래쪽에 정션을 고정
9 정션의 4개 포트 중 한곳에 E-tube 케이블을 고정한다.
10 앞 디레일러 E-tube케이블을 정션에 장착
11 플러그 커버를 사진과 같이 장착한다.
12 앞 디레일러의 옆 부분에 딱소리가 날 때까지 집어넣는다. 그 후 케이블을 정리한다.
13 마지막으로 뒤 디레일러로 가는 E-tube케이블을 장착한다.
14 플러그 커버를 먼저 장착한 다음, 케이블을 툴을 이용하여 딱 소리가 나게 장착
15 케이블 정리는 기계식 케이블 정리부분만 있는 경우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16 앞 디레일러와 아우터 체인링 간의 거리를 1~3㎜ 정도로 조절해 크랭크와 앞 디레일러를 고정
17 헤드셋을 고정하기 위해 #1이 적힌 부분을 잠그고
18 브레이크 등을 장착하고 스텐드에서 자전거를 내린다.
19 #2가 적힌 32㎜ 너트를 풀어주어 헤드셋 유격을 조정한 다음
20 #3이 적힌 아래쪽 볼트를 잠그면 전체 조립이 종료된다.
전체 케이블 연결과 세팅
1 다시 거치대에 자전거를 올리고 이제 세팅에 들어간다.
2 상단 및 하단 조절 볼트, B-액슬 조절 볼트를 세팅하는데
3 먼저 D부분의 볼트(B-액슬 조절볼트)를 잠그거나 풀어서
4 풀리와 가장 큰 스프라켓간의 간격 5~6㎜가 나오게 세팅한다.
5 그 다음 기어를 5단에 놓고
6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의 아래쪽 단추를 2초간 눌러 세팅모드로 들어간다. 이 때, F, R 중 깜빡이는 부분이 세팅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7 R이 깜빡이는 상태에서 크랭크를 돌려주며 오른쪽 시프터 아래쪽 레버를 체인이 스프라켓에 약간 닿아서 소음이 날 때 까지 눌러준다.
8 그 상태에서 위쪽 레버를 5번 눌러주면 그림과 같이 스프라켓의 중앙과 풀리의 중앙이 일치되며 세팅이 완료된다. 그 후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의 단추를 2초간 눌러 세팅모드에서 빠져나온다.
9 기어를 11단에 놓고 상단 스토퍼를 잠가주는데, 볼트를 조이다가 내부에 닿으면 반 바퀴에서 한 바퀴를 풀어준다. 하단 스토퍼도 동일하게 세팅한다.
10 앞 디레일러 세팅의 경우 기계적인 세팅과 스위치를 이용한 세팅 2가지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기어를 크로스 상태에 둔 다음
11 먼저 스트로브 고정 볼트를 풀어주고
12 H2 가 적힌 부분을 조절하여
13 이너 플레이트(A)가 체인과 0~0.5㎜ 간격이 되도록 세팅한다.
14 체인 가이드를 프레임 안쪽으로 밀면서, 스트로브 고정 볼트를 조인다.
15 기어를 풀 이너에 놓은 상태에서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단추를 2초간 누른 다음 세팅 모드로 들어가면 다시 스위치를 더블클릭해 앞 디레일러 세팅모드로 들어간다.
16 왼쪽 시프터의 X, Y레버를 눌러 이너 플레이트가 체인과 0~0.5㎜ 간격(a)이 되도록 세팅하고,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의 단추를 2초간 눌러주어 세팅을 끝낸다.
17 기계적인 세팅은 모두 끝났으며 이대로 라이딩을 해도 무관하지만, Di2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E-tube project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즈를 사용해보자.
E-tube project 커스터 마이즈
1 E-tube project 프로그램을 다운 받기 위해서는 e-tubeproject.shimano.com 에 접속한 다음 최신버전을 다운받으면 된다.
2 SM-PCE1(Di2와 PC를 연결해주는 장비)을 사용하는 경우 남는 E-tube 포트에 장착하면 되며
3 SM-BCR2(Di2 배터리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면 된다.
4 자전거와 PC를 연결한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각각의 사용하고 있는 제품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맨 오른쪽의 E-tube케이블 모양의 아이콘은 SM-PCE1으로 컴포넌트를 단독으로 연결하여 제품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된다.
5 MTB를 선택하여 커넥션 체크를 클릭한다.
6 Next를 눌러 장착된 전체 제품을 불러온다.
7 제품 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는 위의 창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가 있을 경우 노란색, 문제가 있을 경우 빨간색으로 제품아이콘 옆에 표기가 된다.
8 중요 업데이트의 경우 자동으로 바로 실행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업데이트를 클릭한다.
9 업데이트의 경우 제품의 성능 및 배터리의 효율 등 점점 Di2를 좋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항상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추천한다.
10 다음으로 커스터마이즈에 대해 알아보자.
11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의 화면켜짐 시간에서 싱크로나이즈드 쉬프트까지 많은 부분을 사용자화 할 수 있다.
12 먼저 디스플레이 모니터 세팅에서는 비프음과 화면켜짐 시간을 세팅한다.
13 스위치 세팅에서는 레버의 좌우변경은 물론, 좌우를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2단 클릭부분의 사용유무까지 선택이 가능하다.
14 멀티 쉬프트 모드에서는 다단변속을 어떤 스위치에서 사용할지와 다단변속의 속도, 몇단씩 변속될지를 선택할 수 있다.
15 마지막으로 싱크로나이즈드 맵핑은 사용자의 선호하는 기어비를 선택하여 코스 및 사용자에 맞는 세팅을 할 수 있다.
16 모든 세팅이 끝나면 꼭 Complete Setup을 클릭한 뒤 자전거와 PC와의 연결을 끊어야 한다. 세팅 중에 케이블이 빠질 경우 펌웨어에 문제가 발생하여 SM-PCE1을 이용해 복구해야 한다.
자료제공 ㈜나눅스네트웍스 055-310-2920 www.nnxsports.com
사진 이동복 기자
제공 자전거생활
출처 바이크조선
발행 2015년 10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바이크조선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미캐닉룸' 시리즈 보기(14/17)
- ㆍ미캐닉룸_앞 변속기 조정
- ㆍ미캐닉룸_뒤 변속기 조정
- ㆍ미캐닉룸_디스크브레이크의 관리
- ㆍ미캐닉룸_잡음을 잡아라
- ㆍ미캐닉룸_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정비 ①
- ㆍ미캐닉룸_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정비 ②
- ㆍ미캐닉룸_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정비 ③-1
- ㆍ미캐닉룸_하이브리드 자전거의 정비 ③-2
- ㆍ미캐닉룸_서스펜션 포크의 관리
- ㆍ미캐닉룸_겨우내 묵은 자전거를 깨우자
- ㆍ미캐닉룸_튜블리스 레디(Tubeless Ready) 타이어 장착하기
- ㆍ미캐닉룸_시마노 사이드 스윙 앞 변속기 설치와 조정
- ㆍ미캐닉룸_펄크럼 레드 메탈 XRP 휠세트 뒤 허브 정비
- ㆍ미캐닉룸_시마노 XTR Di2 장착과 세팅
- ㆍ미캐닉룸_무선 속도계 & 케이던스 장착하기
- ㆍ미캐닉룸_승차감, 그립 향상을 위한 드롭바(Drop-Bar) 테이프 교체하기
- ㆍ미캐닉룸_ 원활한 주행을 위한 앞 변속기 세팅